구약성경 속 10가지 재앙과 홍해의 기적에 관한 언급이 있는 고대 이집트 문서 ‘이푸베르 파피루스’의 모습. PCKBOOKS 제공 미국 유명 애니메이션 ‘이집트 왕자’의 백미는 ‘홍해의 기적’ 장면이다. 구약성경 출애굽기는 이집트의 왕자였다가 하나님의 뜻에 따라 민족 지도자로 추대된 모세가 바다 위로 손을 내밀자 밤새 큰 동풍이 몰려와 바다에 마른 땅이 드러났다고 기록한다.(출 14:21~30)이 홍해의 기적에 대한 의견은 기독교인 사이에서도 분분한 편이다. 고대 근동 역사가이자 고고학자로 현재 연세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인 저자는 이 기적이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세대 신학과와 같은 대학 연합신학대학원을 거쳐 이스라엘 히브리대와 텔아비브대서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고대 근동·레반트(Levant) 고고학 전문가’다. 레반트는 서아시아의 동지중해 연안 지역을 뜻하는 용어로 오늘날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시리아 레바논 등을 이른다.책은 저자가 그간 이스라엘 예루살렘 다윗성과 라기스, 기럇여아림 등 발굴 현장에서 마주한 고대 역사와 성경 이야기를 알기 쉽게 풀어낸 것이다.홍해의 기적은 그 대표적 사례다. 고대 이집트 문서인 ‘이푸베르 파피루스’엔 이집트인 관점에서 본 홍해의 기적이 기록됐다. 네덜란드 라이덴의 국립고고학박물관에 소장된 이 문서엔 이집트 전역을 휩쓴 자연재해와 이로 인한 사회 혼란이 기록돼 있다. 학계는 해당 문서를 기원전 19세기에 작성돼 기원전 13세기까지 수정·편집된 것으로 보는데 이는 성경 속 출애굽 시기와 겹친다는 게 저자의 해설이다. 또 이집트를 떠나려는 노예의 목에 온갖 보석을 걸어줬다는 진술과 불기둥을 연상케 하는 자연 현상도 기록됐다. 람세스 4세 무덤에 있는 ‘문들의 서’엔 홍해의 기적처럼 물이 갈라진 내용이 기록됐다. PCKBOOKS 제공 이집트 카르나크 신전 세 번째 탑문 좌측 벽에 새겨진 세티 1세 전투 장면과 람세스 4세 무덤에 있는 ‘문들의 서(書)’에는 물이 두 갈래로 갈라진 내용이 새겨져 있다. 전자에는 전차를 모는 이집트인 앞에 쫓기는 세 무리와 큰 물줄기, 그 건너편에서 찬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저자는 “서술과 그림이 출애굽기 3~4장과 12~14장에 기록된 모세와 이10여년째 이어지는 담배 소송 변론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담배회사들이 흡연의 중독성과 담배 제조사의 책임 등을 두고 다시 맞붙었다. 건보공단 측은 “담배 회사는 위험물질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담배 제조사 측은 “위법성이 없다는 것을 대법원에서 여러 차례 판단 받았다”며 맞섰다. 편의점에 담배가 진열돼 있는 모습. 뉴시스 서울고법 민사6-1부는 22일 건강보험공단이 KT&G와 한국필립모리스, BAT코리아를 상대로 낸 533억원 손해배상청구 소송 항소심의 12차 변론을 진행했다. 호흡기내과 전문의인 정기석 공단 이사장은 “2025년도에 와서도 담배의 중독성을 얘기하는 것 자체에 비애를 느낀다”면서 담배회사에 폐암 발병 등의 직접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정 이사장은 최근 건강검진 수검자 약 14만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언급하며 “담배가 100명 중 98명의 폐암 발생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대표 석학들이 모인 여러 학회에서도 흡연과 암 발생에 인과관계가 있고, 담배에 중독성이 있으므로 담배회사가 책임져야 한다고 했다”고 전했다.최근 건보공단 건강보험연구원과 연세대 보건대학원은 건강검진 수검자 13만6965명의 건강검진과 유전위험점수 등을 토대로 30년·20갑년(하루 한 갑씩 20년 이상)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소세포폐암 발병 위험이 54.49배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암 발생 기여 위험도(노출군의 질병 발생률 중 위험 요인이 기여하는 정도) 분석에서는 '30년 이상, 20갑년 이상' 흡연자의 소세포폐암 발생에 흡연이 기여하는 정도가 98.2%를 차지했다. 유전 요인의 영향은 극히 적었다.반면 피고인 담배회사 측은 개인의 흡연 행위는 어디까지나 자유의지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공단의 원고 적격성도 문제 삼았다.담배회사 측 변호인은 “흡연은 개인적 선택이었고, 흡연을 선택하신 분들은 여전히 중단할 수도 있다”며 “금연 성공률이 낮다는 통계가 금연의 자유의지 상실을 뜻하는 것도 아니다”